HOME
글자크기 확대 글자크기 원래대로 글자크기 축소 프린트
해양경찰청, “해양오염 방제자재 생산업체 부담 완화”
- 방제자재·약제 포장 바뀌어도 재승인 없애고, 성능 기준 중심 형식승인 절차 혁신으로 민원 부담 확 줄여 -
해양경찰청(청장 김용진)은 해양오염 방제자재‧약제의 형식승인 제도를 ‘포장 단위별 승인’에서 ‘성능 기준 승인’으로 9월 18일부터 개선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선은 민원인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한 결과이다.
그동안 동일한 제품이라도 포장단위가 달라지면 별도의 형식승인을 받아야 했고, 이 과정에서 기업들은 수백만 원의 비용과 두 달 이상 걸리는 행정 절차를 반복해야 했다.
이번 제도개선으로 앞으로는 단순히 포장이 달라졌다는 이유만으로 재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으며, 제품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재질‧성분‧크기 등 본질적 변경이 있을 때만 형식승인을 받으면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의 행정 부담이 줄고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해양경찰청은 민원인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형식승인 민원신청서 작성 가이드라인’을 새롭게 마련했다. 품명‧형식‧규격 등 신청서 작성 요령과 첨부서류 예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기업이 보다 쉽고 신속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제도개선은 기업의 부담 경감뿐 아니라 국민에게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불필요한 행정 절차가 줄어들면 방제자재와 약제가 평시에 충분히 확보되고, 해양오염 사고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즉시 투입될 수 있어 대응력이 한층 강화된다.
송영구 해양오염방제국장은 “이번 제도 개선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혁신 행정 사례”라며 “앞으로도 불필요한 규제를 줄이고, 해양환경을 보호하며 국민 안전을 지키는 합리적인 제도를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